Q. 대장내시경 검사 후 화장실을 가는데 빨간피가 나옵니다. 병원을 가봐야 할까요? A. 일반적으로 대장내시경 용종 제거나 조직검사 후 가장 심각한 합병증이 바로 출혈이나 천공이겠지요? 그러기에 많은 분이 내시경 후 복통이 심하거나 출혈이 조금이라도 보이면 많이 놀라시는 것도 당연하고요. 그러나 그런 경우는 아주 드문 경우이고
2016-11-04 오후 3:04:35
Q. 족저근막염 증상은 발바닥 어느 부분이 아픈 건가요? 걸을 때 발이 아파서 족저근막염이 의심되는데 병원에 가봐야 할까요? A. 아침에 일어나 첫발을 뗄 때나 앉았다 일어설 때 발뒤꿈치에 찌릿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. 족저근막은 발바닥에 있는 두꺼운 섬유 띠로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발을 올
2016-11-04 오후 3:03:29
면역력이 약해지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이 바로 감기다. 감기는 간단하게는 콧물, 기침, 발열, 두통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지만 심한 경우 다른 질환과 함께 나타날 수 있다. 그리고 감기가 나타나기 쉬운 요즘 같은 시기에는 혈자리를 지압해주면 감기에 도움이 될 수 있다. 하루 10~20분 정도의 마사지로 감기 등 여러 질환에 도움이
2016-11-04 오전 11:58:05
Q. 건강에도 무리가 가고, 정자에도 안 좋다고 해서 줄이고는 쉽지만 마치 중독된 것처럼 매일 하루 한 두 번씩 자위행위를 하고 있습니다. 이렇게 잦은 자위행위가 탈모나 기타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지 궁금하고, 잦은 자위행위에서 벗어날 방법이 있을지도 궁금합니다. A. 자위행위란 성적인 긴장감을 방출시키는 데 필요한 것으로, 대체로 성인
2016-11-03 오후 5:15:47
2017학년도 대입 수능이 코앞으로 다가왔다. 오는 11월 17일 실시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많은 수험생과 그 가족들이 거는 기대와 긴장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. 그리고 지난 12년 이상의 시간이 판가름나는 단 한 번의 기회라는 생각 때문에 긴장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수험생이 많다. ▲ 수험생 스트레스, 압박감이 가장
2016-11-03 오후 4:52:50
질병관리본부는 수두, 유행성이하선염(볼거리)의 계절적 유행 (가을, 겨울철) 증가에 대비해 예방접종 기록 확인 및 단체생활 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. 수두와 유행성이하선염 초기증상은? 수두와 유행성이하선염은 환자의 침, 콧물 등의 분비물(비말)을 통해 전파되는 호흡기 감염병으로, 통상 매년 4~6월, 10월말~이듬해 1월
2016-11-03 오후 4:33:27
무릎 건강에 허벅지 근육 운동이 도움이 된다. 무릎 관절을 건강하게 지키려면 지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얼마나 잘 흡수하느냐가 중요한데 허벅지의 근력을 키워주면 무릎을 단단히 잡아주어 무릎의 충격 흡수 기능이 향상된다. ‘스쿼트, 런지, 제자리 걷기’ 등 허벅지 근육을 자극하는 운동과 서서 발꿈치를 들어 올리면서 앞쪽 발바닥으로 잠
2016-11-03 오후 3:52:06
한국인의 밥상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김치. 김치는 세계 5대 건강식품의 하나로, 유산균, 식이섬유와 비타민 등이 풍부해 항암 효과와 노화 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소개되기도 했다. 하지만 고혈압 환자는 김치를 통해 염분을 과다 섭취할 수 있다. 김치가 문제가 되는 것은 소금에 절이는 과정 때문인데, 소금이 아닌 소
2016-11-03 오후 3:50:56
현대인들은 많은 질병에 시달린다. 대부분 그 원인을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생활 습관으로 꼽게 되지만, 좋지 않은 자세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도 상당하다. 그중 등이 뻐근하게 뭉친 것처럼 느껴지는 등 통증 (등 결림)은 움직임이 시원하지 않고, 스트레칭 등을 통해 조금 나아졌다 싶다가도 얼마 후면 다시 통증이 느껴지기 때문에 영 달갑지 않다
2016-11-03 오후 2:29:54
Q. 수험생 시절에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으면서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. 그 이후로 장염에 잘 걸리고 설사도 잦아서 힘든데, 평소에 장을 튼튼하게 만들어서 이런 증상들을 예방할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. A. 과민성 장증후군은 근본 치료가 참 힘든 경우가 많아, 약물보다는 평소의 음식 조절이나 스트레스 조절, 배변 훈련 등에 주
2016-11-03 오후 2:11:48